Posts

Showing posts from 2014

Acceptance

No matter how hard I try to deny that, a moment will come that I realize this is the only kind of life I have. No matter how strongly and loudly I say "My life sucks.", this is all I have. She does not come back. I can see her face only through photos. I cannot hug and touch her anymore in this life. I grow older every single day. I become an old man. If I don't behave, I will also become a dirty old man. The movie title "There is no country for the old" rings so true. The misery I feel stems from the simple fact that I think I am still young when it is not true at all. I will turn 50 next year. From that age, death can fall upon me anytime soon. I might fall sick, I might die of any terminal disease, and very possibly, I might live but will feel as if I am dead already. I may feel, at least, better if I accept my life as it is. A widower's life. A grain of sand in the middle of a hourglass that can break anytime. When I was in the middle of fight a

Emotional constipation

Since I found out my wife had a terminal brain cancer in May 2009, I cried four times. Once with my mother and once with my father. It is not like I am close to my parents. Maybe it is because of instinct. Third time I cried was on my way home in the bus after the funeral. I was watching my wife's picture in the frame that I held. Suddenly, tears dropped from my eyes. The last time I cried was one day after funeral. I was home alone and watching text message my wife sent to me on our wedding anniversary in the year 2010. At the deathbed of my wife, I did not cry. During the funeral, I did not cry. Even the four times I cried, each of them was not longer than 5 minutes. I think less than 5 minutes is not enough to flush away what is inside of me. Something must be stuck inside of me. It must have been there for a long time, maybe it has been there for the last 5 years all along. If I could cry my heart out, I might feel better and have a kind of closure. This emotional constipati

My dream

Body cannot tolerate the smoking anymore. Mind is empty. Life is empty. The future looks dark. Hope for anything good is gone. Body is extremely tired. Mind is numb. I want to escape this reality. I want to forget my body and mind. I wish I have never existed from the beginning. It is too cold winter. I want to go where there is no winter. A tropical island where I can sleep in the hammock and watch young and healthy girls swimming in the crystal clear beach. I wish everything that ever happened to me was a nightmare from which I can wake up and smile. Smile big. I need to do something to change my life or I need to stop doing something to change my life. Or I should just dump the idea of having to do something to change my life. Or I should just stop wanting to change my life.

I am a train off the track.

People talk about their life, their job, their problems and so on. I listened to them but in my mind say, "so what?" I act as if I care about this ordinary life. I talk and laugh as if the feeling of everything surreal I had when my wife died is now gone. But I know deep inside that I still don't think this thing called life is a serious matter that I should care about. My wife's death broke the firm ground I used to stand on.  I know that my life and everything in it can turn into a vapor in a wink. Everything is ephemeral. People get married. They plan a vacation. They buy and decorate a Christmas tree.  They wonder where they will see the new year's sunrise. I have two opposite feelings at the same time for the people. I envy them because they are still in the cozy ordinary life where nothing dreadful happens. But I also have a devilish thought that their seemingly firm ground can collapse in a moment. I read Camus and Sartre when I was in my 20s. Most of

Mozart

You watch a horror movie and the night is deep. You smoke a cigarette. You think you should stop smoking because eventually you will face the consequence of your action.  You drink a glass of wine. You think about an American widower who always writes great prose about his life on his blog. He is wise and calm. He is full of wisdom that only a wise widower can have. You think you are one messed-up widower. You think the reason you keep smoking is that you find nothing important, nothing to strive for in this life. You just want to spend the time while thinking about nothing. The best way to waste time is to smoke.   You have a very ominous feeling that you will smoke again when you finish the wine. The only thing that lends a bright light to your life is music of Mozart. Even when your wife is dead and cannot keep company for you, Mozart is still there. You think the last thing on your mind when you die will be music of Mozart.  When you were going through unhappy adolescence,

I am lost.

The world has become a strange place. In the past, five years ago, I was different. But I don't remember how I was different then. Something changed. I think it is all because of absence of my wife. The world was simple and familiar. I can't find the trace of the world in which I used to live in my current life. I am becoming something different. I am becoming empty and hollow. How different will I become in the future? I do not know.

My world is breaking down

Tired with smoking and purposeless life. No purpose. No meaning. No joy. Just broken body and lonely soul. That's me.

얼마나 남았는가

이 세상에 얼마나 더 있어야 하는가? 나는 알지 못한다. 보장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희선은 예상하지 못한 죽음을 당했다. 가족 거의 전부가 세상을 떠났다. 나는 언제 죽을까? 내가 예상하지 못한 시간에 죽음은 나에게 올 것이다. 희선에게 일어난 것처럼.

2014년 11월 19일.

2012년 5월 2일. 2014년 11월 19일. 대략 2년 6개월.  나는 아직 이 세계의 시간과 공간에 묶여 있다. 내가 갇혀 있는 이 시간과 공간은 언제든지 무너질 수 있다. 희선의 세계가 무너져버린 것처럼. 나도 언젠가는, 10년후, 10개월후, 10일후, 또는 10시간후에, 이 세상을 벗어날 수 있다. 이 세상을 벗어나면 다시는 돌아오고 싶지 않다.  신이 인간을 유일하게 부러워하는 것이 자살의 자유라고 말한 인간이 있지만, 자살이 존재의 끝이 아니라면 그건 궁극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영원히 존재해야 하는 것. 다른 모습으로 계속해서 이 세상에 다시 들어와서 고통받아야 한다는 것. 그것은 일종의 지옥이다. 영원한 존재해야 한다는 선고를 받은 죄수같은 것이다. 무서운 일이다. 존재를 영원히 지워버릴 수 있다면, 그러면 이 존재의 피로감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할 수만 있다면 나의 존재를 지워버릴 것이다. 그러나 희선을 살리는데 실패한 것처럼 나는 나의 존재를 지우는 것에도 실패할 것이다. 그저 다시는 돌아오지 않겠다는 희망에 매달려야 할 것이다. 다시는 돌아오지 않겠다. 다시는. 다시는. 

In my world

In my little world where nobody shares my intimate thoughts, I am living alone. I sleep alone at nights. There used to be, in those days that I can't remember what they were like, my wife Heesun in the bed with me. Now, I don't sleep in the large bed we used to sleep in together. It is a cheap and small bed now. It is so small that I sometimes almost fall from it. The quality of a human life can be measured by the simple fact that whether you sleep alone or not. It is not about making physical contact at all. It is whether there is someone in your bed, someone in your life with whom you can share small things in your life. Live alone too long, then you feel either like a mere shadow of what you used to be or like a lonely animal. You know, you realize that you are alone and lonely. You realize that you will get more and more distant and alienated from the normal mundane world. You know that you cannot go back to the normal life and the normal person you used to be before horrib

흉악한 기억

이 세상에 더 이상 있지 않은 희선은 더 이상 괴로와하지 않을 기억. 서서히 언어를 잃어버리고, 기억을 잃어버리고, 나중에는 사람도 못 알아보게 된 희선의 마지막 1년. 그것을 기억하는 인간은 이제 나밖에 없다. 가끔가다 갑자기 떠오르는 그 때의 기억. 혼자 멍하니 TV앞에 앉아 있다가 소파위에서 잠이 든 희선. 좋아하는 오락프로그램을 보다가 나한테 "저게 왜 웃기는거야?"라고 묻던 희선. 삶에 대한 갖가지 정당화. 구차한 희망을 순식간에 지워버리는 건 바로 그런 기억이다. 괴로와하는, 아니 괴롭다는 것조차 느끼지 못하게 된 그때의 희선의 모습이 내 머리속에, 시간속에 새겨져 있다. 삶이 거지같은 것이라는 강력한 증거로 내 머리속에 박혀있다. 나는 죽을 때까지 그 기억을 없애지 못할 것이다.

And I can be happy alone in my den

or with my kids until they grow and leave me.  I wish I could stay home. Making breakfast and dinner for my sons. Working home and making decent money that allows me to buy food and things for my sons and me.  The speaker plays Mozart violin sonata by Henryk Szeryng and Ingrid Haebler. I just had a sausage, potatoes and mustard sauce. I feel calm and mildly happy. I wish I could make my wife taste the dinner I prepared.  My second son is sleeping and my first boy is on his way home after school. Everything would be perfect if my wife is here with me. Dinner, Mozart, and our sons.  Of course, it was not in my fate that I would have everything. The most important one in my life is missing. She had to go before me.  I will stay home and play Mozart and prepare meals. I really sound like a good housewife. But I am not a housewife. I am just a widower. 

Something went wrong

Can't remember exactly when. Maybe four or five months. It all started with me resuming contact with people. I met friends. I drank. And I smoked. My health got worse and worse. I lost myself at the same time. My own self who was alone and silent and stayed home. I talk to people more often than before but I got lonelier. Ironical. Maybe because they remind me of the reality that they have ordinary life and I lead a life with no expectation. A life with no woman that I live and sleep together. Maybe I should go back to my den and never get out again.

경험하지 못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

“가끔은 고독을 즐길 필요가 있다.” “결혼기념일을 왜 남자만 챙겨야 하는가?” 이런 말을 하는 인간을 보았다. 두 다리를 가진 인간이 다리 한쪽밖에 없는 인간을 이해할 수는 없다. 고독을 즐긴다? 아웅다웅할 마누라가 아예 없다면? 전부 나와는 상관없는 세상의 일이다. 내가 세상을 멀리 해야 하는 이유다.

토요일 저녁

Image
1988년의 희선의 사진. 지금의 내 나이보다 스물일곱살이 어린 나이. 내가 결혼을 일찍 했다면 나의 딸이 될 수도 있는 나이. 나는 이렇게 늙어버렸고, 사진속의 희선은 스물 두살의 처녀다. 세월은 흐르고, 나는 점점 시간 속에서 희선과 멀어진다. 희선은 시간과 상관 없는 곳으로 갔을지 모르지만, 그 곳에서 나에게 연락을 보내지는 않는다. 내가 볼 수 있는 것은 오직 희선의 사진 뿐이다. 시간이 빨리 흐르기를 바랄 때가 있다. 이 모든 것이 빨리 지나가서 내가 이 세상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시간이 없는 그 곳으로 갈 수 있도록. 희선을 다시 만날 수 있도록. 이 무의미한, 피곤한 세상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Get back to your routine

Get smoking out of your life. Listen to Bach. Read books. Sweep the rooms. Make food. Play with kids. Watch movies. Don't lose your own self. Be a widower. A self-sufficient widower.

She should be watching me

I fail myself everyday. I mingle with people. I lose myself. When I keep myself busy, I stop thinking about her. But even in those busy hours, I wish she were looking at me from somewhere. Nobody can take her place for me. Dead or alive, she was, is and will be forever my beloved wife. When all is said and done, I come back to my quiet room and she stays on my mind forever. You don't even have to show yourself in my dream. When the time comes, I will come to you.

The life you had is over.

The life you knew is over. The man that once you were is dead just like your wife is dead. You are a man with no woman in your life. You miss a woman in your life. But the woman cannot be any woman. She must be your wife. But your wife is dead. So, you are and will be a man with no woman, maybe until you die. Very probably, quite possibly, you will die alone. You are not the man that you used to be. You are a different person. Your old life is over. But you don’t have a new life. You are almost dead already.

정직한 생각

죽음 이후의 삶의 가능성에 대해서, 또는 확실성에 대해서 수많은 책들을 읽었다. 그런 책들에서 위안을 얻을 수 있을지 몰라도, 사실은 그런 책을 읽을 필요가 없는 인생이 백배 천배 행복한 인생이다. 다른 인간들은 그런 책이, 그런 정당화가 필요 없다. 그저 평범한 일상에 익숙하게 몸을 맡긴 채 사는 것이다.  희선이 나처럼 인생에 대해서 근본적으로 비관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인간이었더라면, 희선이 그렇게 일찍 가버린 것에 대해서 내가 느끼는 부당함도 지금처럼 크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희선은 삶을, 인간들을 너무나 좋아했다. 스테로이드 부작용으로 얼굴이 달덩이처럼 커진 상태로 동네 아줌마들에 둘러 싸여 환하게 웃고 있는 희선의 사진을 우연히 찾았다. 이런 사진을 볼 때 나는 더 슬퍼진다.  내가 죽고, 희선이 살아남았어야 했다. 삶을 즐길 줄 아는 인간은 50세도 되기 전에 죽고, 유치원 시절부터 생에 의심을 가졌던 나는 살아남아서,   인생을 사랑하는 아내가 자식들이 성장하는 것도 보기전에 죽는 것을, 고통에 시달리다가 작별인사도 못하고 가버리는 것을 봐야 하는 이런 인생은, 이런 세상은 얼마나 잔인한 것인가.  담배를 피우면서, 무슨 신호라도 보내서 나를 말려달라고 희선에게 말을 하지만. 물론 희선이 무슨 신호를 보내는, 가로등을 깜박이거나, 꿈에 나타나서 잔소리를 하거나, 하는 그런 일은 나에게 생기지 않는다.  희선이 누구에게 살해당했다면, 나는 그 살인자를 죽여서 최소한의 만족은 느꼈을 것이다. 그러나 희선을 죽인 건 인간이 아니다. 암세포에게 복수를 할 수는 없다. 그리고 희선이 병에 걸린 것이 복잡한 운명의 결과라면, 나는 더 더욱 복수의 대상을 찾을 수가 없다. 우주에 대해서, 또 있다면 신에 대해서, 복수를 할 수는 없다.  복수를 하지 못해서 나의 마음속에 수년 동안 쌓여온 이 분노. 신에게도, 세상에게도 퍼부을 수 없는 분노. 어쩌면 그 분노 때문에 나는 담배를 피우는지도 모른다. 부셔버릴 수 있는, 복수를 위해 죽여

Standing ahead of the long holidays

When my wife, Heesun, died on May 2, 2012, I lost a center of my personal universe. I became a kind of spineless animal. In the past, I considered myself a self-sufficient being. Everything was in a proper place. The world was routinized and familiar. Now, it is not like that anymore. For a one whole year, I did not smoke. Since three months ago, I smoke sporadically. Why do I do this? I know that once I smoke I can't stop. I don't feel good after smoking. But I do it over and over again. Do I want to kill myself? Maybe. Do I hate keep on living when Heesun is gone? Maybe. Maybe I have been hiding my wish even from myself. What I want to do is to die. I am sick of being left alone in this unfamiliar world. The world I had disappeared when Heesun died.

Stay alone away from people

Here is an irony. I meet people and leave them, and I feel lonelier than I stay alone. I feel even more miserable because they have what I lost. Going back to home where a wife is waiting for you. If I stay home alone, I feel just like the same that I have always felt since my wife died. Being alone like a dog. But, at least, there is no comparison with others. People give an easy advice to widowers and widows that they should go out and meet people. Nowadays, I wonder if it is really a good advice. Rather than coming home alone, after meeting people, and feeling even more miserable and lonely, maybe I should just learn to enjoy myself alone. Maybe that is better for me. Maybe that is the way I should stay until the end. Maybe I should ….

I cannot change the past

What has been done is irreparable. No matter how or what I do, I can change nothing what is in the past. My wife died and I am a widower. Sooner or later, I will die, too. Everything that happened and will happen to me is in the single package called my life.  I know nothing that is certain.  I don’t have to fight over anything. Fight to get anything. Life just goes on until I die.  I just let myself to this stream called life. I just stay for a while and I am gone.  Nothing is serious enough for me to fume about.  Nothing is a cause for complaint or anger or even interest.  I just let myself be and let things around me be. 

길잃은 영혼

생각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 Law of attraction. 그리고 수많은 뉴에이지 서적들. 그런 책들을 읽으면 나는 지금의 상태에 이르게 된 것에 대해 나 말고는 아무도 책망할 인간이 없다. 아내가 병에 걸렸을 때, 갖가지 방법을 써서 아내를 살리려고 했지만, 그때 내가 적은 일기를 보면 아내의 죽음을 항상 두려워하고 있었다. 내가 두려워 하는 것이 현실이 된 것이다. 내가 아내를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병을 싸워서 이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면 나는 정말로 아내를 살릴 수 있었을까? 내가 지금 살고 있는 이 현실은 내가 만들어 낸 것인가? 나의 모든 환경, 모든 사건들이 내가 이미 써놓은 시나리오인가? 나는 그저 쓰여진 각본대로 연기를 하는 배우인가? 과거에 나는 기계적인 결정론을 믿었다. 자유의지에 대해서 불신을 품고 있었다. 아내가 암에 걸렸을 때, 나는 나 자신의 의지를 채찍질하면서, 나약한 육체를 혹사시키면서 아내의 죽음이라는 정해진 코스를 벗어나려고 안간힘을 썼다. 아내가 가버린 후, 나는 과거에 믿었던 결정론보다 더 철저한 또 다른 종류의 결정론에 빠져버린 것 같다. 나의 사주에는 홀아비가 될 팔자라고 써 있었다. 영혼에 관한 책들에서는 인생에서 내가 겪는 커다란 사건들은 내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계획한 이벤트, 영혼의 발전을 꾀하기 위한 장애물이라는 설명을 공통적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든 저렇게든 나는 이 세계에 갇혀 버린 셈이다. 어쩌면 나는 직감하고 있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기억할 수 있는 유년시절을 돌이켜 보면, 인생에 대해서 내가 느낌 감정은 대부분 인생은 지긋지긋한 것, 뭔가 발을 잘못 들여놓은 장소라는 것, 아둥바둥하고 살려고들 애쓰지만 결론은 허무하고 비참한 것이라는 것. 그런 감정들이었다. 유치원에 다닐 때도 그랬고, 그 이후의 유년시절에도 마찬가지 감정이었다. 뭔가 좋지 않은 예감이었다. 영화를 보기도 전에 왠지 기분이 께름찍한 영화를 볼 것 같다는 느낌 같은 것이었다. 으슥한 어두운 골목처럼

문을 닫는 것이 살 길이다.

인간들과 만날수록, 세상으로 나갈수록 나는 더 피곤해지고, 자신을 잃는다.  건강, 침착함, 평온한 생각, 명상. 모든 것이 내가 혼자서 사는 법을 터득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세상은 나에게 줄 것이 없고, 나도 세상에 줄 것이 없다.  모든 불행은 집 밖으로 나가기 때문에 생긴다는 빠스깔의 말은 항상 옳다.  자신의 정원을 가꾸는데 전념해야 한다는 볼테르의 말도 항상 옳다.  인간들을 만나는 것은, 세상과 섞이려 하는 것은 나를 잃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죽음에 대해서 생각

희선을 기억하는 건 죽음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이다.  다시는 받을 수 없는 퇴근 시간 가까이에 희선이 보내는 메시지. 나의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부재를 기억하는 것이다.  소중하다는 것을 몰랐던, 과거의 나의 한심함에 대한 생각. 죽을 때까지 혼자일 거라는 미래에 대한 생각. 인생의 의미 자체에 대한 회의. 나의 염세주의라는 파도를 막아주는 방파제 같은 존재가 희선이었는데, 아들 둘도 다 커서 독립을 하면, 나는 나의 생존을 무엇으로 정당화시킬 것인가? 한순간에 파도에 휩쓸려갈 수도 있을 것이다.  아무리 잘난체해도 고독을 이겨낼 수는 없다. 고독을 잠시 잊을 수는 있겠지만. 다른 일에 몰두함으로써. 결국에는 혼자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절망적인 선택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삶의 정당화라는 것이 나에게는 중요한 이유다. 

월요일 아침

      아들들이 성인이 되기 전에 내가 죽지 않는다면, 그래서 가사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지금과는 다른 세상이 열릴 것이다. 그때가 되면 죽음을 앞당길 수도 있고, 다른 나라를 보러 갈 수도 있다. 지금은 세상이란 것 자체에 정이 떨어졌지만, 그때가 되면 다를 수도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그때가 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희선에게 그런 일이 벌어진 것처럼. 무슨 상관인가.

월요일 아침

      아들들이 성인이 되기 전에 내가 죽지 않는다면, 그래서 가사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지금과는 다른 세상이 열릴 것이다. 그때가 되면 죽음을 앞당길 수도 있고, 다른 나라를 보러 갈 수도 있다. 지금은 세상이란 것 자체에 정이 떨어졌지만, 그때가 되면 다를 수도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그때가 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희선에게 그런 일이 벌어진 것처럼. 무슨 상관인가.

일요일 아침

Image
  긴 꿈을 꾸었다. 그러나 희선은 꿈속에 나타나지 않았다. 거실에 걸린 희선의 웃는 사진을 잠시 보았다.

금요일 저녁

Image
            하루가 지나갔다. 내 방 정리 하고, 집안 전체 빗자루질 하고 나니 하루가 지나갔다. 하루가 지나갔다.

아무 것도 할 필요 없다.

나의 생존을 지루하게 느낀다. 인간들이 어떻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지 모르겠다. 로빈 윌리암스가 자살했다. 총명한 인간들은 삶을 견디지 못하는가 보다.

Get used to reality

Will anyone live my life instead of me? Nobody does it. But then again, I don’t have to care about anybody. I will live my life and die my death. There will be no other woman in my life until I die. This is not a determination. This is an objective observation and prospect. If a woman comes into my life in spite of my financial situation and my characteristics, she must be an angel. And I already met a woman like that and she died. There is no chance a thing like that repeats itself. Not a chance. So, get used to reality and just live your life without any hint of expectation. Just shut up and live and eventually die.

고통의 의미

말을 못하고, 정신이 망가지고, 남은 것은 껍데기 밖에 없었던 희선의 마지막 날들. 그 고통을 어떤 방법을 통해서라도 설명하기 위해서 나는 책을 여러 권 읽었다. 그런 괴로운 경험이 나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했다는 식의 합리화가 필요했다. 고통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면, 그 고통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라는 질문. 이 모든 일들이 내가 원한 것이었다는, 내가 이미 계획한 것이었다는 식의 설명. 그러나 고통에 대해서 근본적인 질문을 할 필요가 있다. 고통스런 경험은 정말로 인간을 더 나은 존재로 변화시키는가? 그런 경험이 없는 편안하고 행복한 인생이 잘못된 것인가? 결국은 구차한 느낌이 든다. 다리가 잘린 인간이 불구가 되어서 좋은 점을 나열하는 것과 비슷한 짓이다. 내게 일어난 일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내가 애쓰는 것은 말이다. 희선은 말도 못하고, 침대에 누워서, 아무도 못 알아보고, 똥오줌을 기저귀에 싸면서, 거의 1년을 병원에서 보내다가 죽었다. 거기에서 무슨 의미를 찾아내려고 애쓰는가? 자신을 속이지 마라. 길가는 아무나 붙잡고, 그런 상태가 되고 싶냐고 물어보면, 그렇게 하면, 남편을 더 나은 인간으로 만들 수 있다고 하면 그러겠다고 하는 인간이 있을까? 물론 미친 질문이다. 희선이 비참하게 죽은 것은 신하고도 상관이 없다. 상관이 있다면, 그런 존재는 신이 아니라 악마라고 불러야 한다. 왜나면 그런 고통과 신은 내가 생각하기에 양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잠자리의 날개를 하나씩 뜯으면서, “이렇게 하면 훌륭한 잠자리가 될 수 있다”라고 말하는 신을 상상할 수 있는가? 고통은 고통일 뿐이다. 거기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정신착란이다 과거에 했던 어떠한 결정도, 미래에 일어날 어떤 일도 현재의 고통을 정당화하거나, 고통 이상의 그 무엇으로 바꿀 수는 없다. 고통은 고통이고, 죽음은 죽음이며, 남은 인간은 그저 혼자 남은 인간일 뿐이다. 고속도로에서 차에 치어 죽은 개의 옆을 떠나지 못하는 다른 개와, 나의 신세는 다른 것

변화

나는 게으른 인간인데도 이렇게 살고 있다. 살고자 하는 의지가 강한 것은 아닌데. 결국은 관성의 법칙이다. 넓은 세상을 보는 것도 아니고, 이 어두운 사무실에 앉아 있다가, 차를 몰고, 저녁을 하고, 어두운 방에 앉아 있다가 잠을 자고, 다시 출근하고. 이런 짓을 반복하다가 나이가 더 들면 회사를 그만 두고, 어쩌다 보니 시간이 더 지나면 병들어 죽는 것이다. 인간들은 어떻게 이런 무의미한 반복을 견디는 것일까? 아마도 같은 반복이라도 그것을 같이 하는 누군가가 있으면 견딜만 하기 때문일 것이다. 왜 나는, 같이할 사람도 옆에 없는데, 무엇이 두려워서 이런 무의미한 생활을 반복하고 있을까? 아들들 때문에? 그것이 아니다. 변화하려는 의지가 없기 때문이다.

Sign

Sometimes when I play ukulele, the lamp stand flickers. I wonder if it is my wife sending me a signal. Maybe it is her. Maybe I just wish it is her. I am stuck in this life. I am lonely. I am fed up with people. I feel pathetic. I don't know what this is. What am I doing here? I want to leave this place. This job and this life. I want to forget about past 5 years. I want to forget about my life.

2014년 7월 28일

과거의 나를 생각했다. 출근하는 차안에서. 희선이 살아있을 때. 내가 젊었을 때. 과거의 나를 머리속에서 기억하고, 바라보면 마치 다른 인간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과거에 그 장소에 그 상황에 내가 있었던 것도 신기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 이 장소에 이런 상황에서 내가 앉아있는 것도 신기하다. 그림에서 등장인물 하나를 빼버리고 나니 완전히 다른 그림이 된 것처럼, 나의 일상적인 세계에서 희선이 없어지자 마자 이 세상은 전혀 다른 곳이 되었다. 나만의 게으른 세계에 빠져서, 멍하니 살던 나도 다른 인간이 되었다. 개선된 것도, 나빠진 것도 아니다. 나는 그저 다른 인간이 되었다. 세상이 달라졌고, 내가 달라졌다. 둘 다 낯선 존재다. 다른 나. 다른 세상. 빨리 끝나면 좋을 악몽같은 세상이라고 가끔 생각한다. 아무 것도 진지한 것은 없지만, 깊은 생각을 하고 싶지 않거나, 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인간들은 힘들게 사는 것이다. 나도 그랬고, 아내가 죽은 것을 보고 나서도, 한 사람의 죽음으로 세상이 완전히 달라지고, 내가 죽으면 그 달라진 세상이 아예 없어지는 것을 알면서도 나는 여전히 일상에 묶여있는 것이다. 집을 팔아버리고, 여행을 가도 되는데, 모험을 해도 되는데, 그렇게 안 하는 것이다. 결국은 관성의 법칙 때문이고, 게으름 때문이다. 지진이 나고, 화산이 터져서 살던 집이 박살이 났는데도, 모든 걸 털어버리고 길을 떠나는 대신에 쭈그려 앉아서 부서진 살림살이를 챙기고 있는 아줌마 같은 짓을 내가 하고 있는 것이다. 한심한 놈. 게으른 놈. 인간들의 게으름, 어리석음에 경멸을 보내고, 그 안에 속해있는 나 자신에게 똑같은 경멸을 보낸다. 하나의 죽음은 삶 전체가 얼마나 위태로운 것인지를 깨닫게하는 증거다. 인간들은 다만 그것을 외면할 뿐이다.

죽음을 두려워하는 인간들

가끔 이메일을 교환하는, 미국 친구 Kim의 이메일을 받았다. 아버지가 죽었다고 한다. 희선의 죽음을 겪은 후 다른 인간들보다 내가 한 가지 잘하는 것은 죽음의 소식에 대해 놀라지 않는다는 점이다. 아내가 죽어서 모임에 자주 못나왔다고 말했을 때 놀라서 일그러지던 어느 회사의 여자 임원의 얼굴은 지금도 기억이 난다. 나는 죽음이라는 단어를 듣고 일그러지는 그 여자의 얼굴을 보고 놀랐다. 인간들은 정말로 죽음을 무서워한다. 곰곰 생각해보면 희한한 일이다. 인생이라는 여행의 종착역이 죽음인데, 그 종점에 도착한 다른 인간을 보고 놀라는 것이다. 자기는 마치 그곳에 가지 않을 것 처럼. 낮에 찾아간, 희선의 재가 남아 있는, 메모리얼 파크에서 벽에 붙은 사진을 보고 큰 소리로 우는 젊은 여자를 보았다. 옆에 나이 든 남자가 있는 걸로 봐서는 어머니가 죽은 모양이다. 아무리 소리내서 울어도 돌아오지 않는다. 그리고 나는 희선이 간 후 거의 울지도 않았다. 어느 누구에게도 책임을 돌릴 수 없는 그 비참한 죽음에 대해서 허탈함, 분노, 허무함, 여러 가지 감정을 느끼지만 소리내어 울게 되지는 않았다. 울어 봤자 소용 없다는 깨달음 때문인가. 아니면 3년이 넘게 아내의 죽음의 공포에 시달려서 적응이 되었기 때문인가.

시간과 공간

시간, 공간. 무언가를 하려고 하는 인간들이 주변에 있다. 밤에 전화를 걸어, 나에게 이것 저것을 하라고 충고한다. 그 인간들은 미래의 계획을 머리 속에 가지고 있다. 나는 그런 계획이 없다. 나는 우주비행사처럼 이 시간과 공간 속에서 허우적거리며 하루하루를 보낸다. 이 세계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인간들을 나는 바라본다. 나는 정말로 죽음을 두려워 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른다. 아직도 삶에서 보람을 느끼는 인간들, 안온한 현실에서 하찮은 일상을 되풀이하며 만족을 느끼는 인간들을 생각하면 부럽다.

2014년 7월 18일

2014년 7월 18일 오후 2시 30분 나는 혼자 사는 것에 익숙해져 가고 있다. 대화 상대가 없고, 밤에 한 이불을 덮고 체온을 나눌 여자가 없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나는 점점 혼자 사는 것에 익숙해진다. 아이들이 커 갈수록 현실이 나의 목에 걸고 있는 밧줄도 점점 느슨해진다. 회사에서 하루 9시간씩 앉아 있어야 하는 생활에서도 결국은 탈출하게 될 것이다. 매일 출근 하는 자가용 안에서 인간들을 바라 본다. 짧은 치마를 입은 젊은 여자들을 본다. 추하게 생긴 외국 여행객들을 본다. 오직 이 인생만이 전부이며, 죽고나면 아무 것도 없다는 뉴튼의 물리학, 기계적 세계관을 종교처럼 믿고 있는 인간들을 본다. 뉴튼을 읽은 적이 없고, 아인슈타인을 읽은 적이 없다는 점에서 그들과 나는 다른 점이 없다. 다만 인간들은 9시 뉴스를 믿듯이 학교에서 배운, 남이 토한 지식을 기준으로 자신들이 발을 딛고 사는 세계를 상상하고 믿는다는 것. 나는 매일 뉴스에서 반복되고, 인간들이 암묵적으로 확인한다고 해서, 낡은 우주의 해석이 사실이 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는 것. 나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인간들이 만들어낸 원시적인 측정도구에 잡히지 않는다고 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무언가의 실체를 부정하지 않는다는 것. 그것이 그들과 나의 차이점이다. 학교에 가기 싫어서 지구가 멸망하면 좋겠다고 말하는 둘째 아들처럼, 나도 사무실 옆사람에게 핵폭탄이 터져서 다 죽어버리면 좋겠다고 공공연히 말한다. 그는 내가 진심을 말한다는 것을 모른다.

목요일 오후

내가 희선과 보낸 시간들. 내가 희선과 만들었던 경험들. 그 모든 것을 다시 만들어낼 수는 없다. 희선에 대해서 생각하는 빈도가 줄어든다. 절실히 원하는 것을 갖지 못한 것이 지금까지 내 인생의 패턴이었다. 이제 희선의 죽음에 대한 기억이 나를 잔인하게 후벼파는 힘이 줄어들었으니, 오히려 꿈 속에서 희선을 다시 만날 가능성이 커지지 않을까라는 희망을 가진다. 멀리 여행을 가서, 스위스로 출장을 가서, 희선과 떨어져 있었지만, 서울에 희선이 있다는 생각이 머리 깊은 곳에 자리잡고 있었던 매년 6월의 해외출장. 그때처럼 지금은 희선이 멀리 출장을 갔다고, 나는 잠시만 있으면 다시 희선을 만난다는 그런 자기암시를 해도 될 것이다. 눈깜짝할 사이에 흘러버린 희선과의 19년처럼, 나의 앞으로의 19년도 금방 지나갈 것이다. 인생에 FF 버튼이 있다면 반복해서 눌러서 시간을 빨리 감고 싶다. 모든 것이 끝나도록.

일요일 아침

Image
혼자 자고 혼자 일어난다. 언제 끝이 날 것인가.

시간의 힘

시간이 흐르니까 기억이 희미해지고, 과거의 고통에 대한 느낌도 약해진다. 희선이 혼자 방에 앉아 있는 사진, 병원에서 넋이 빠져 누워있는 사진. 이런 사진들을 멀리하면 괴로운 감정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시간의 힘은 강력하다. 모든 감정과 기억을, 인간 자체를 지워버린다. 결국에는 나도 지워질 것이다.

목요일

나는 진공상태와 비슷한 세계에서 살고 있다. 나에게 익숙했던 과거는 희선이 병들고, 죽은 후부터는 사라져 버렸다. 나의 미래는 알 수 없지만, 희미하게 예상할 수 있는 나의 만년은 혼자 살다가 죽는 노인의 모습이다. 어떤 여자가 다시 나의 인생에 들어올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정상적인 여성을 유인할 수 있는 요소가 내게는 없다. 젊음, 미래, 돈. 그러나 친구에게서 들었던 한 남자의 이야기는 신기하다. 나도 한번 흘낏 본 그 남자는 돈도 없고, 나이도 나보다 많다. 특출한 외모도 아니다. 그러나 돈이 많은 노처녀가 반해서, 같이 살고 있다. 금전적 문제와 외로움이 해결된 것이다. 왜 나에게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왜 나는 혼자 살다가 죽을 것이라고 예감하는 것일까? 결국은 운명에 대한 예감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되돌아보면 희선이 먼저 죽을 것이라는 전조 같아 보이는 일들이 과거에 있었던 것처럼. 지금 이 시간에서 컴컴한 미래를 바라 볼 때도 나는 비슷한 예감을 느끼는 것이다.

나의 인생은 Story가 될 수 없다.

"한 개인이 무언가를 간절히 바라고, 그것을 얻기 위해 여러가지 장애를 극복하고, 마침내 원하는 바를 얻는다." 이것이 유명한 시나리오 작법 강사 Robert Mckee가 내린 Story의 정의다. 나의 인생, 희선을 살리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한 나의 인생이 왜 이야기가 될 수 없는지, 다른 인간들과 공유할 만한 가치가 없는지 이제는 안다. 나는 장애를 극복하지 못했고, 원하는 것을, 희선을 살리는 것에 성공하지 못했다. 지난 5년간의 나의 인생은 실패였다. 그러니 내가 삶에 아무런 감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 나 자신에게 여러 번 되풀이해서 말해준다. "나의 인생은 실패다." "나는 실패했다." 여러가지 방도를 찾아가면서 아내를 살리려고 고생했지만, 암에 걸려 고통받다가, 비참하게 죽어가는 아내를 결국 살리지 못했다. 이건 이야기가 아니다. 이건 나 자신과도 나누고 싶지 않은 한심한 시나리오다. 나의 인생은 실패라는 것을 기억할 것. 그리고 그 기억에서 자포자기와 편안함이 뒤섞인 만족을 느낄 것. 욕심을 내지 말 것. 그저 눈을 감고 시간이 흘러가도록 내버려 둘 것. 인간들과 섞이려고 노력하지 말 것. 아무 것도 희망하지 말 것.

일요일 아침

Image

Not to forget her

I have been to Heesun's cemetery a couple of days ago. I think less and less about her now. I need to remind myself to remember her. I don't want to forget her. I need to remember her to live. To go on living.

희선

말수가 적은 여자 순수한 여자 친절한 여자 나는 희선 같은 여자를 다시 만나기 어려울 것이다.

A thought

Nothing needs to be done Nothing needs to be changed. I let things pass beside me. I let time pass beside me. My life has no purpose. I can just live and wait for the end of this life to come anytime it wants to come. It was my mistake to step into this life. I cannot undo anything - not a single thing - in my life. She had to die. I had to live alone. She had to suffer. I had to suffer, too. The best thing I can do is to let things be. Let the world go its course. I just sit and watch. I will find out what this world has in its sleeve to offer to me. More pain?

My life is a mess, so what.

My life is a mess. My wife died. I am a widower. So what? Who cares? I am just a single grain of sand in an hourglass.

생각

특별히 해야 할 일은 없다. 시간이 지나가는 것을 보는 것 외에는. 다른 인간들이 자신들의 세계 속에 살고 있듯이 나도 나만의 세계 속에 살고 있다. 지호가 중학교 입학하는 것만이라도 보고 싶다던 희선은 세상을 떠난 지 2년이 넘었고, 이제 승호가 내년에 고등학생이 된다. 지겹다고 생각하는 이 인생도 언젠가는 끝이 날 것이다. 처음 시작할 때부터 느낌이 좋지 않았던 나의 인생. 유치원에 다니는 어린 아이 때부터 안 좋았던 느낌. 항상, 성인이 되어서도 뭔가 잘 풀리지 않을 것 같다는 느낌. 그 모든 느낌이 옳았던 것이다. 삶보다는 죽음. 활동보다는 무기력. 존재보다는 비존재를 선택하는 나의 성향은 이 세상으로 들어오고 싶지 않았던 나의 영혼의 성향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다. 모짜르트는 35세에 죽었다. 내가 같은 나이에 죽었다면 나는 2001년에 죽었다. 13년 동안 뭘했는가? 짧은 생존의 앞과 뒤에 존재하는 시간이 인간의 상상력을 초월할 정도로 길다. 만약 이 삶이 끝남으로써 모든 것이 끝난다면, 질적으로, 양적으로, 우주의 규모에 비교해 볼 때, 인간의 삶과 하루살이의 삶은 큰 차이가 없다. 우주의 전체 시간과 자신의 생존시간의 비교를 인간이 몸으로 느낄 수 있다면, 목적, 의미, 노력 따위는 아무 의미도 없는 짓이라는 것을 느낄 것이다. 다행히도, 육체가 없어지면 존재도 소멸한다고 믿는 현대문명의 지식에 세뇌당한 대부분의 인간들은 지적으로는 자신의 유한성을 믿지만,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마치 자신들이 영원히 살 것처럼 행동한다. 그런 지식과 느낌의 부조화를 깨닫지도 못한다. 손가락 한 번 튕기면 꺼지는 촛불같은 짧은 시간 속에서 무슨 의미, 목적, 행위를 추구한다는 것인가? 깊게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피상적이기 때문에 인간들은 자신들의 존재를 견디어내는 것 뿐이다. 자신들이 지적으로 믿고 있는 내용을 만약에 몸으로 느끼게 해준다면, 한 번 밟으면 몸통이 으깨어져 죽어가는 바퀴벌레의 존재와 인간의 존재는 거대한 우주의 시간

일요일 아침

Image

생각

희선은 꿈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나는 일상을 반복하고 있다. 이 인생이 감옥이라면 탈옥의 가능성은 없다. 세월이 빨리 흘러가기를 바란다. 순식간에 늙고, 그래서 빨리 이 세상을 떠나가기를 바란다.

일요일 오후

Image

Life goes on

Image

홀아비

희선이 세상을 떠난 후 몇개월 지나고 나서 X는 내게 말했다. "야. 나도 친구 중에 홀아비 있어. 나도 어떤 건지 알아." 원래 뭐든지 아는 척하는 인간이지만 과부도, 홀아비도 아닌 주제에 홀아비의 심정을 다 아는 척 하는 그 잘난 척에 나는 기가 막혔다. Iris Murdoch - “Bereavement is a darkness impenetrable to the imagination of the unbereaved.”

My purpose here in this life

I read a book called "Many lives, many masters." It is a psychiatrist's record of a patient who remembers her past lives during hypnosis sessions. The subject and content is nothing new to me. But this time, I had a thought about why I became a widower. Maybe, I planned this life as a chance to learn loneliness. That is why Heesun had to die and I cannot find any hope or desire of meeting another person who will replace her. If so, I should live alone and die alone. I should learn the meaning of solitude until I die. Rather than trying to get back closer to people, I should stay alone and cut myself from other people. After all, I don't find much meaning in mingling with people. And for them, I am just someone who reminds of unpleasant possibility of losing one's spouse. Someone told me that I should meet people more often. I think that is a problematic advice. They don't please me because they have what I lost. And I am not a pleasant sight for them

Another waste of time

Image
They make me sit here and waste my life.

금요일 아침

Image

목요일 아침

Image

목요일 오후

Image

개새끼들

아무런 인연도 없는 인간들하고 점심을 먹는 사고가 일어났다. 괴로웠다. 부처가 말한, 보기 싫은 인간들을 만나야 하는 고통. 나는 이런 인간이다. 나는 이렇게 잘났다. 나를 우습게 보지 마라... 이런 메세지를 계속해서 던지는 인간을 보고 있으니 인간이란 동물이 얼마나 웃기는 존재인가를 느꼈다. 가련한 존재. 애처로운 존재. 점심을 먹고 자리에 돌아오면서 받은 명함들을 찢어서 쓰레기통에 던졌다. 그런 인간들하고 시간을 낭비하느니 혼자서 3만년동안 점심을 혼자 먹는 쪽을 택하겠다.

월요일 밤 11시

희선. 마누라. 사진을 스캔한 지 오래 되었다. 좀 게을러진 것이다. 혼자 사는 것에 지쳐가는 것이다. 그렇게 생각한다. 나의 인생은 여러 개의 영화가 연결 된 것 같다고 생각했다. 로맨스 영화, 가족영화, 그리고 갑자기 나타난 공포영화, 그리고 지금은 모르겠다. 희선이 암에 걸린 것을 알게 된 이후에, 그리고 희선이 죽고 난 후에는 그 전에 내가 살았던 삶에 대한 기억이 희미하다. 아이들도 엄마하고 어디에 갔었는가에 대한 기억을 물어보면 기억이 안난다고 한다. 아이들의 인생과 나의 인생은 희선이 병든 시점에서 칼로 자르듯이 허리가 잘려나간 것 같다. 희선이 그렇게 처참하게 무너지고, 무의미한 고통을 받다가 결국에는 유언도 못남기고 죽어간 모습을 보았다 . 고통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것은 살아있는 인간들이 주로 타인의 고통을 보면서 하는 놀이다. 나는 희선의 고통에서 어떤 의미를 찾기에는 그 고통에 너무 가까이 있었다. 한편으로는 나조차도 그 고통을 같이 할 수는 없었다. 신이 있다면, 아니면 신과는 상관없이 어떤 깨달음을 얻기 위해 내가 이런 인생을 선택했다면, 도대체 무엇을 깨달아야 하는 것인가? 무의미한 고통, 부재, 남은 인간의 외로움. 결국 내가 끌어낼 수 있는 깨달음은 하나 밖에 없다. 인생이 허상이라는 것. 내가 디디고 있는 땅이 언제라도 무너질 수 있다는 것. 나의 존재도, 희선의 존재 만큼이나 위태롭고, 언제든지 희선처럼 나도 죽을 수 있다는 것. 무의미하고 고통스럽게 죽을 수 있다는 것. 이것을 배우려고 했던 것인가? 내가. 인생에 침을 뱉어주고, 문을 닫고 인생에서 나가버리고 싶어하는 나의 성향에, 희선의 부당한 죽음은 마치 화약고에 불을 붙인 것과 같았는데, 자식이 있기 때문에 무의미한 인생에서 탈출하지 못하게 된 운명이라는 것. 이건 아이러니다. 강렬한 증오를 느끼는데, 그 증오를 퍼부을 대상이 누군지도 모른다는 것. 어쩌면 내가 바로 그 대상일지도 모른다는 것. 가슴이 자주 답답하다.

Waste of time

Image
They make me sit here and waste my life. I don't care.

일요일 낮 12시

Image
멍한 느낌. 애들 밥 먹이고. 빨래 해야 한다.

5월

Image
아파트 화단 옆을 희선은 힘차게 걸었고, 나는 헉헉대며 따라갔던 것이 2010년 5월이었다. 분명히 거기에 희선이 있었다. 나도 있었다. 지금은 없다.

더러운 거리

Image
미세먼지로 찌든 거리를 하루 종일 돌아다녔다. 혼자서. 이민가고 싶다.

On my way to work

Image

비난할 수 없는 인간

내가 세상을 향한 문을 닫아버린다고 해서 나 자신을 비난할 수는 없다. 내가 아닌 남이었다면 나는 이 인간을 동정했을 것이다. 이 인간이 제대로 인생을 꾸려가지 못한다고 해서 비난할 수 없다. 첫 해는 쇄골이 부러지고, 다음 해는 아내가 생존기간이 1년인 암에 걸린 것을 알게 되고, 그 다음 해부터 3년간 아내를 살리기 위해 죽을 힘을 다 썼지만 실패하고, 남은 것은 아들 둘 딸린 홀아비 신세로 아내가 죽은 후 2년이 지난 남자. 나는 이런 인간이 우울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세상사를 허무하다고 느낀다면 그것도 이해한다. 자살충동을 느낀다 해도 이해한다. 세상을 향한 문을 닫아버린다면 그것도 이해한다. 아니 오히려 제대로 문을 닫고 살 수 있는지 지켜 볼 것이다. 자신의 내면 세계 속으로 깊게 들어가는 것은 가볍게 볼 일은 아니다. 어지러운 머리로 세상과 어울려 자신을 잃는 것보다는 오히려 내면 세계 속으로 깊숙이 잠수하는 것이 낫다.

일요일

Image
승호 밥 먹이고. 나는 라면 먹고. 지호는 밥달라고 말할 때까지 기다리고. 희선이 그랬던 것처럼 소파에 누워있다.

5년전 오늘

5년전 오늘. 2009년 5월 23일. 희선을 방사선과에 데려가서, 뇌종양을 발견한 날이다. 내가 살고 있던 세상이 무너지기 시작한 날. 이날 이전과 이날 이후, 나는 완전히 다른 세상에서 살게 되었다. 완전히 다른 세상. 희선이 없어질 수 있게 된 세상. 그리고 희선이 사라진 세상. 혼자 사는 세상. 삶의 축이 사라진 세상. 한 인간의 삶이 그렇게 쉽게 무너져 버리고, 생각이 사라지고, 감정도 사라지고, 껍데기만 남아서 죽어버린 세상. "삶의 의미"라는 말이 아무 의미도 없게 되어 버린 세상.

My Cup

I have too many prejudices about myself and my life. This life is the only drink that the universe served to me. It doesn’t matter what drinks other people have and enjoy. I can’t change my cup with those of others at least not until this bar in which I find myself closes. I should stop envying what other people are drinking. I should just drink my cup and try to find other ways to please myself.

점심

Image
사무실의 인간들하고 점심을 먹으러 갔다. 영화본 얘기, 자기 마누라 얘기, 나하고 아무 상관도 없는 얘기들. 나는 물리적으로는 이곳에 있지만, 나의 정신은 다른 곳에 있다. 인간들이 자신들의 작은 늪에서 자신들이 싸질러 놓은 오물속에서 뒹굴면서 사는 동안에, 나의 정신은 시베리아만큼 먼, 다른 공간에 있다.